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차근차근

(5)
부채 과목 내용 부채 Liabilities : L 기업은 경영난의 악화로 금전을 빌려오거나 상품 등을 외상으로 구입하면 장차 갚아야 할 의무가 생긴다. 이때 생기는 채무를 부채라 하며, 1년을 기준으로 유동부채와 고정부채로 분류한다. No 과목 : 내용 1 외상매입금 : 상품을 외상으로 매입한 경우의 채무 2 지급어음 : 상품 매입이나 외상대금으로 지급할 어음 채무 3 매입채무 : 외상매입금과 지급어음을 합한 것 4 단기차입금 : 차용증서를 발행하고 금전을 빌려온 경우의 채무 5 미지급금 : 상품 이외의 물건(유가증권, 건물 등)을 구입한 경우의 채무 6 선수금 : 상품 매출 계약금조로 미리 받은 금액 기업회계기준에 의한 부채의 분류 1) 유동부채 : 매입채무, 단기차입금, 미지급금, 선수금, 예수금, 미지급비용, 미지..
기업 회계 기준에 의한 자산의 분류 기업회계기준에 의한 자산의 분류 자산 1. 유동자산 1) 당좌자산 : 현금 및 현금등가물, 단기금융상품, 유가증권, 매출채권, 단기대여금, 미수금, 미주수익, 선급금, 선급비용 등 2) 재고자산 : 상품, 제품, 반제품, 재공품, 원재료, 저장품 등 2. 고정자산 1) 투자자산 : 장기금융상품, 투자유가증권, 장기대여금, 장기성매출채권, 투자부동산, 보증금, 이연법인세차 등 2) 유형자산 : 토지, 건물, 구축물, 기계장치, 선박, 차량운반구, 건설중인자산 등 3) 무형자산 : 영업권, 산업재산권, 광업권, 어업권, 차지권, 창업비, 개발비 등
자산 과목 내용 항목 설명 기업 재무상태 재무제표 자산 과목 내용 자산 항목 설명 1 자산(Assets : A) 자산이란 기업이 경영활동을 위해 소유하고 있는 재화와 채권 사용기간에 따라 유동자산과 고정자산으로 분류 형태의 유무에 따라 유형자산과 무형자산으로 분류 재화 : 기업이 소유하고 있는 현금, 상품, 건물, 토지 등과 같이 화폐의 가치로 나타낼수 있는 물건 채권 : 외상매출금, 받을어음, 단기대여금, 미수금 등과 같이 타인으로부터 받을 권 리가 있는 것 No 과 목 : 내용 1 현금 : 한국은행에서 발행한 지폐와 주화 및 통화대용증권 2 당좌예금 : 당좌수표를 발행하여 예금 인출을 할 수 있는 예금 3 예금 : 보통예금, 저축예금 등과 같은 요구불예금 4 현금등가물 : 3개월 이내에 만기가 도래하는 유가증권 또는 금융상품 ..
기업회계 기준 대차대조표 손인계산서 작성원칙 기업회계 기준 - 대차대조표 작성원칙, 손익계산서 작성원칙 1) 대차대조표 작성 원칙 구분 표시의 원칙 총액 기재의 원칙 1년 기준의 원칙 (유동과 고정 분류) 유동성 배열의 원칙 잉여금 구부느이 원칙 미결산 계정, 비망계정 사용금지의 원칙 2) 손익계산서 작성원칙 발생주의 및 실현주의의 원칙 비용 수익 대응의 원칙 총액주의의 원칙 구분 계산의 원칙
기업 회계의 일반원칙 1. 기업회계 일반원칙 신뢰성의 원칙 명료성의 원칙 충분성의 원칙 계속성의 원칙 중요성의 원칙 안전성의 원칙 실질우선의 원칙 2. 기업회계 일반 원칙 : 회계에 관한 모든 원칙을 규정. 기업이 회계 처리를 할 때는 이 원칙에 따라 처리해야한다. 1) 신뢰성의 원칙 회계 처리 및 보고는 신뢰할 수 있도록 객관적인 자료와 증거에 의해서 공정 하게 처리하여야 한다는 원칙이다. 즉, 회계장부가 허위로 조작되어서는 안되며 회계정보의 이용자 누구에게나 공정하게 적용되어야 한다는 원칙이다. 2) 명료성의 원칙 재무제표의 양식 및 과목과 회계용어는 이해하기 쉽도록 간단, 명료하게 표시 하여야 한다는 원칙이다. 즉, 재무제표 이용자가 기업의 경영성적 및 재무상 태의 회계기록, 계산, 정리에 대한 필요한 자료가 명료하게 ..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