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26)
전기차와 엔진 내연기관 자동차 차이점 전기자동차는 EV(electric vehicle)이라고 하며, 배터리에 축적된 전기를 동력원으로 모터를 회전시켜서 움직이는 차량입니다. 엔진 내연기관자동차는 ICEV라고 하며 휘발유를 원료로 움직이는 차량입니다. 동력발생장치에 대해서는, 전기자동차는 전기모터를 사용하지만, 내연기관자동차는 엔진을 사용합니다. 동력전달장치에 대해서는, 전기자동차는 변속을 하기위해서 모터에서 생산된 동력을 일정 속도로 감속해주는 감속기를 이용하지만, 내연기관자동차는 엔진에서 발생된 동력을 자동차휠에 전달해주는 과정에서 변속기와 클러치를 사용됩니다. 연료계통에 대해서는, 전기자동차는 배터리와 배터리 전력을 모터용 전력으로 변환시키는 인버터를 사용하지만, 내연기관자동차는 연료인 가솔린이나 디젤과 연료탱크와 연료탱크에서 엔진으로 ..
자동차 운전 속도에 따른 정지거리 운전자가 운전중인 자동차를 멈출때 까지는 어느정도 거리가 있습니다. 이러한 거리는 보통때에는 신경 쓸 일이 없지만, 위험한 상황이 발생했을 때는 짧아야 사고가 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자동차가 정지할때까지의 거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공주거리는 운전자가 위험을 인지한 후 브레이크를 작동시키기 전까지 주행한 거리입니다. 제동거리는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작동시킨 후 자동차가 정지할때까지의 거리입니다. 정리거리는 공주거리와 제동거리를 합한 거리로서, 자동차가 멈추는데까지 이동한 거리입니다. 반응시간은 공주거리 만큼의 시간으로서 보통 1초입니다. 자동차의 시속이 20km/h인 경우 공주거리는 6m이고 제동거리는 3m입니다. 자동차의 시속이 30km/h인 경우 공주거리는 9m이고 제동거리는 6m입니다. 자동차의 ..
방어운전 안전운전 초보운전 방법 안전하게 운전을 하는데 까지는 오랜 운전을 통하여 자연적으로 체득하게 될때까지 오랜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그 전까지는 교통법규를 잘 지킨다고 하더라도 다른 차에 의하여 사고를 당할 수 있으므로, 사고를 피해는 운전을 하는 것도 중요하며 이를 방어운전이라고 합니다. 즉, 운전이 미숙한 경우, 방어운전을 미리 습득하는 것이 중요한 듯 합니다. 방어운전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안전거리 확보 시야 넓게 전방 측면 살피기 좌우 흔들리게 주행하는 차량 또는 화물차 뒤는 피하기 중앙선침범 정면충돌 위험 방지를 위해서 1차선 주행 피하기 전조등 및 깜박이등 일찍 미리 켜기 버스와 택시의 주변과 뒤는 피하기 양보운전 생활화 앞차 언덕 건물 등 시야가림에서 갑작스럽게 사람 또는 차량 충돌 사고를 상상하며 대비 ..
고속도로 일반도로 안전주행 안전거리 주행차로 1. 안전거리 고속도로에서는 안전거리 확보가 중요합니다. 고속으로 달리는 고속도로에서는 앞차가 급정지하거나 돌발적인 상황이 발생하는 위험을 대비하여 앞차와의 안전거리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반도로에서는 속도계에 표시된 속도에서 15를 뺀 수치의 미터 거리 입니다. 예를 들면, 60km/h의 속도일때 45m의 안전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고속도로에서는 속도계에 표시된 속도 숫자와 같은 미터 거리 입니다. 예를 들어, 100km/h의 속도이면 100m의 안전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시야를 멀리 두고 앞의 4 ~ 5대 정도 차량의 주행을 살펴보면서 반응하면서 주행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2. 주행차로 고속도로의 1차선은 가장 빠른 속도로 달리는 도로입니다. 추월차선으로 이용되므로 앞..
차선 종류 및 버스전용차선 운영시간 1. 중앙선 자동차 도로 중앙에 노란색으로 좌측, 우측 차선을 구분한 선 입니다. 신호등을 우선으로 하며, 황색실선 중앙선은 넘어갈 수 없으며, 황색점선 중앙선은 넘어갈 수 있습니다. 또한, 신호등을 우선으로 하여, 황색실선 2겹 복선의 중앙선은 넘어갈 수 없으며, 황색실선과 황색점선의 2겹 복선의 중앙선은 황색점선이 있는 차선에서 황색실선이 있는 차선으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2. 백색차선 백색실선의 차선에서 차선변경을 할 수 없습니다. 백색점선의 차선에서는 차선변경 가능합니다. 백색실선의 2겹 차선에서 차선변경을 할 수 없으며, 백색실선과 백색점선의 2겹 복선의 차선은 백색점선쪽의 차선에서 백색실선쪽의 차선으로 차선변경할 수 있으며, 백색실선쪽의 차선에서 백색점선쪽의 차선으로는 차선변경할 수 없습니다..
차량 신호등 4색등과 3색등 1. 4색 신호등 및 3색 신호등이 있으면 빨간색, 노란색, 화살표, 녹색 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차량 신호등 색상 의미 녹색 : 직진, 다른 교통 방해하지 말고 우회전 노란색 : 정지선에 정지, 이미 교차로 진입시에는 신속히 통과, 다른 교통 방해하지 말고 우회전 녹색 좌회전화살표시 : 화살표 신호시 좌회전, 다른 교통 방해하지 말고 우회전 적색 : 정지선에 정지, 다른 교통 방해하지 말고 우회전 2. 경보등 보행자 또는 차량통행이 적은 도로에서 운전자의 과속을 막고 주의를 주기 위해서 노란등 또는 빨간등을 깜빡거리는 경보등을 설치합니다. 경보등이 보이면 속도를 줄입니다. 노란색 점멸(깜빡이는) 등은 서행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빨간색 점멸(깜빡이는) 등은 일시정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3. 차량보조등..

728x90
LIST